Mac
맥 OS(Mac OS)는 애플이 매킨토시 용으로 개발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영 체제이다. 처음에 이 운영 체제는 매킨토시에 포함된 이름 없는 운영 체제로 간단히 시스템 소프트웨어라고 불렸으나, 1997년 맥 OS 7.6의 출시와 함께 이름이 맥 OS로 바뀌었다.
옛날 버전의 맥 OS는 모토로라 68000 기반 매킨토시에서만 호환되었다. 그 후 애플이 PowerPC 기반 매킨토시를 내놓으면서, 맥 OS는 PowerPC용으로도 포팅되었다. 맥 OS 8.1은 모토로라 68000 기반 매킨토시(모토로라 68040)에서 호환되는 마지막 버전이었으며, 맥 OS X는 PowerPC만을 지원하다가 인텔 맥을 출시하면서 10.4.4 버전부터 인텔 프로세서용으로 포팅되었다. 10.6 스노 레퍼드부터는 PowerPC 프로세서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
크게 나누어 전통적인 클래식(Classic) 시리즈(시스템 1.0 ~ 맥 OS 9)와 새로운 맥 OS X 이후의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Category
- PowerPC
- Quartz
- Boot Camp
- Hackintosh (OSx86)
- Cocoa
- launchctl
- FileNic - macOS에서 한글 파일명 자소분리 문제 해결기
- Automator (오토메이터)
Package manager
Packaging
- Zapp - macOS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프로세스를 간소화하기 위해 설계된 강력한 CLI 도구입니다. Zapp을 사용하면 DMG 및 PKG 파일을 손쉽게 생성하고, 코드 서명, 앱 공증, plist 파일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MAC OS X
OS X(오에스 텐, 이전 이름: 맥 OS X / Mac OS X)은 기업 애플이 제작한 운영 체제이다. 2002년 4월부터 모든 매킨토시 컴퓨터에 적용되고 있다. 이 운영 체제는 1984년 1월부터 애플 컴퓨터를 이끌어 왔던 맥 OS의 마지막 고전 버전인 맥 오에스 9의 뒤를 잇는다. OS X이라는 이 운영 체제의 이름에 들어있는 "X"라는 글자는 알파벳 "X"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매킨토시의 10번째 운영 체제를 뜻하는 것이기 때문에, 로마 숫자 "10"을 뜻하는 것이다. 이 운영 체제는 애플이 1996년 12월에 인수한 NeXT의 기술력으로 만들어졌으며 유닉스에 기반을 하고 있다. 2011년 7월 20일에 OS X 라이언이 출시되었다. 기존에도 줄여서 OS X이라고 많이 표현했으나, OS X 마운틴 라이언 공개와 함께 기존 맥 OS X (Mac OS X)에서 맥 (Mac)이라는 단어가 공식적으로 제거되었다.
MAC OS X UNINSTALL
컴퓨터가 재시동되는 동안 Command(⌘) 및 R 키를 길게 누르면 된다. 이후, 디스크 유틸리티에서 HDD를 지운 후, 다시설치하면 된다.
Access windows public directory
Mac에서 윈도우 공유폴더 접근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위도우의 공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 공유권한 및 사용자계정을 설정한다.
- Macintosh 사용자가 로그인할 수 있도록 계정을 생성한다.
- 파인더에서 "서버에 연결..."을 선택한 다음, 주소란에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빈칸은
%20
으로 입력해야 인식된다.)
How to use SMB Printer
프린터 고급 옵션을 사용하여 추가할 수 있다. 고급옵션은 아래와 같이 찾을 수 있다.
- Type: "Windows printer via spoolss"
- Device: "Another Device"
- URL:
smb://[insert
print server URL here]/[insert queue name here]
1 2 - Name: URL에 적은 대기열 이름을 그대로 적으면 된다. (suggestion: include the queue name so that Technology Services at FAA can help troubleshoot later, if necessary)
- Location: enter the location for your reference. 3
- Use: Generally select "Select Printer Software...", locate the appropriate driver for the printer, and click "OK". 4
Example
Osx-printer-example-screenshot.png
Uninstall Application
아래 경로의 데이터를 확인하면 된다.
-
~/Library/Caches/[Organization identifier]
-
~/Library/Saved Application State/[Organization identifier]
-
~/Library/Preferences/[Organization identifier]
-
~/Library/Application Support/[Organization identifier]
- ETC...
Keyboard shortcut
자주 사용하는 키보드 단축키는 아래와 같다.
-
command + control + Space
- 특수문자와 이모티콘 입력창 열기. (OS X 10.9 매버릭스(Mavericks)에서 사용 가능)
-
control + Down, [Number]
- 동일 어플리케이션 으로 실행된 다른 윈도우를 선택.
-
control + F3
- Dock으로 초점 이동.
-
(초기 설정값 없음)command + alt + L
- 'Launchpad 보기'은 단축키가 없다. 따라서 아래 경로에서 단축키를 지정해야 한다.
-
control + command + space
- 이모티콘 및 기호.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
command + `
- 동일한 종류의 프로그램이 여러 개 띄어져 있다면 스위칭 한다.
Screenshot
-
command + shift + 1 ~ 4
-
스크린샷 찍기. 4번은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한다. 스크린샷은 바탕화면에 저장된다. -
command + shift + control + 1 ~ 4
-
스크린샷 찍기. 4번은 마우스로 영역을 설정한다. 스크린샷은 클립보드로 복사된다.
-
command + shift + 3
- 전체화면 스크린샷 찍고 데스크톱 폴더에 저장.
-
command + shift + 4
- 영역을 지정하여 스크린샷 찍고 데스크톱 폴더에 저장.
-
command + shift + 4 -> space
- 윈도우를 선택하여 스크린샷 찍고 데스크톱 폴더에 저장.
-
command + shift + 5
- 여러 방법으로 스크린샷 찍고 데스크톱 폴더에 저장.
클립보드에 저장하고 싶을 경우 control
을 누른 상태로 스크린샷을 찍으면 된다.
IME
-
command + space
- 언어 전환
-
command + left/right
- 편집중인 라인의 시작(left)과 끝(right)
-
command + up/down
- 편집중인 에디터의 시작(up)과 끝(down)
-
alt + left/right
- 단어 단위의 커서 이동
If you don’t have permission to use a disk
확장 디스크의 권한획득이 정상적으로 적용되지 않을 경우(chown 등)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 Select the disk and choose File > Get Info.
- Click the disclosure triangle next to Sharing & Permissions to expand that section.
- Select the “Ignore ownership on this volume” checkbox.
Install Ubuntu
MacOS에 Ubuntu설치하는 방법:
- Ubuntu 이미지를 다운받는다.
- USB를 포맷한다.
-
- Launch Disk Utility from Applications>Utilities or Spotlight search
- Insert your USB stick and observe the new device added to Disk Utility
- Select the USB stick device (you may need to enable the option View>Show All Devices) and select Erase from the tool bar (or right-click menu)
- Set the format to MS-DOS (FAT) and the scheme to GUID Partition Map
- Check you’ve chosen the correct device and click Erase
- Etcher프로그램을 다운받고 설치한 후 실행한다.
- USB에 설치한 후 재부팅한다.
-
- If you want to use your USB stick with an Apple Mac, you will need to restart or power-on the Mac with the USB stick inserted while the
Option/alt (⌥)
key is pressed. - This will launch Apple’s ‘Startup Manager’ which shows bootable devices connected to the machine. Your USB stick should appear as gold/yellow and labelled ‘EFI Boot’. Selecting this will lead you to the standard Ubuntu boot menu.
- If you want to use your USB stick with an Apple Mac, you will need to restart or power-on the Mac with the USB stick inserted while the
How to Fix a Slow MacOSX
kernel_task (확인 필요)
kernel_task의 점유율이 올라가는건 오류가 아니라, 과열 등의 상황에서 다른 프로세스가 돌지 못하도록 의도적으로 커널 태스크의 점유율을 올리는 OS 디자인입니다. 대개 발열이 원인이므로 발열 요소를 줄이거나 냉각이 되는 환경을 만들어서 해결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우클릭하여 패키지 내용보기를 눌러주면 Contents파일이 나오는데 클릭후
Resources 백업후, 시스템 정보에서 볼 수있는 모델 식별자5에 맞춰 동일파일을 찾아 지운다. 6
e.g) MacBookPro8,3
이라고 써있으면 MacBookPro8_3
csrutil enable
입력 후 재부팅.
kernel_task - NVRAM 리셋 (확인필요)
NVRAM은 "non-volatile random-access memory"의 약자로 비휘발성렘이다. OS X에 대한 세팅이 저장되어 빠르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스피커 볼륨
- 스크린 리솔루션
- 부팅 디스크 선택
- 만약있다면, 최근 커널 패닉 정보
위 사항들중 해당되는 것이 있으면 NVRAM을 리셋시키는 것을 추천한다고 공식홈페이지에 있나보다. (확인 필요)
초기화 방법은 아래와 같다.
- 맥을 종료한다.
-
CMD + OPTION + P + R
키를 누르고 있는다. - 누루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버튼을 누른다.
-
CMD + OPTION + P + R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첫 부팅음이 들린다. 손을 떼면 안된다! - 부팅 사운드가 두 번째 들릴 때까지 키를 누르고 있는다.
- 두 번째 부팅 사운드가 들리는 즉시 손에서 키를 뗀다.
mds_store (확인 필요)
Spotlight 활동과 관련된 것인데 비활성화 처리하면 된다.
다시 활성화는 아래와 같다.
Utilities
- ShiftIt
- iTerm2
- Securable: CPU 가상화 지원여부 확인 유틸리티.
- Itsycal: 달력 유틸리티
- Alfred
- MenuMeters: 메뉴바 PC 상태 모니터링
- GoldenRabbit: 맥북프로의 터치바를 쓸모있게
- BitBar - Mac OS X 메뉴 막대에 모든 스크립트나 프로그램의 출력을 넣을 수 있다.
- Maccy - 맥용 클립보드 매니저 오픈소스 앱
- jamoya-one - 자모야 모여라 - 파일명 자소 분리 해결 도구
Objective-See - macOS용 무료/오픈소스 보안도구들
- LuLu : 멀웨어 차단용 방화벽
- Do Not Disturb : 피지컬 공격 알림(누군가 노트북을 열면 카메라로 사진을 찍거나, USB/썬더볼트에 꼽는지 등을 로깅하고 핸드폰으로 알려줌)
- KnockKnock : 자신도 모르게 설치되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들 확인
- TaskExplorer : 동작중인 프로세스들 확인
- ReiKey : 키로거 검출
- Netiquette : 네트워크 모니터
- BlockBlock : 자동으로 재실행되는 요소들을 모니터링하고 알림
- RansomWhere : 지속적으로 파일시스템을 모니터링해서 암호화된 파일이 생기는지를 감시하는 방식으로 랜섬웨어를 감지
- OverSight : 맥의 마이크와 웹캠을 모니터링해서, 프로세스가 마이크/웹캠을 켜면 알림
- KextViewr : 모든 로딩된 Kext를 보여줌(사이닝 상태, 풀 경로 등 상세 정보 포함)
- Dylib Hijack Scanner : 컴퓨터를 스캔해서 dylib 하이재킹에 취약하거나 하이재킹된 어플리케이션을 찾아줌
- What's Your Sign : 파인더에 ^-Click 메뉴를 넣어서 어떤 파일이든 코드사이닝 정보를 표시해줌
- Commandline Utilities : 시스템 모니터링 및 멀웨어 분석용 커맨드라인 도구들
See also
- Apple
- MacPort
- Apple 개발자 등록 방법
- LaunchDaemon & LaunchAgents
- Language input keys: Windows 한영전환키 설정 방법 등.
Favorite site
- Wikipedia (en) MAC OS에 대한 설명
- Wikipedia (en) MAC OS X에 대한 설명
- macOS Internals
- Mac OS X의 프리릴리즈 부터 Swift 까지 진화를 추적해서 맥과 아이폰을 더 깊이 이해하기
Utility
Article
References
-
여기에서 대기열 이름(queue name)은 프린터 이름이 된다(SMB에서 출력되는 프린터 이름. 잘 모르겠으면 Windows에서 공유 드라이브에 접속했을 경우 출력되는 프린터 이름을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 ↩
-
(빈칸은
%20
으로 입력해야 인식된다.) ↩ -
잘 모르겠으면 공백으로 둔다. ↩
-
잘 모르겠으면 "일반 PCL 프린터"로 선택한다. ↩
-
좌상단 애플 아이콘 > 이 맥에 관하여 > 개요 > 시스템 리포트 > 하드웨어
에서 모델 식별자 확인 가능. ↩ -
/System/Library/Extensions/IOPlatformPluginFamily.kext/Contents/Plugins/ACPI_SMC_PlatformPlugin.kext/Contents/Resources/
경로 ↩ -
OSX_recommended_program_in_2017.pd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