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tup company
스타트업 컴퍼니(영어: startup company) 또는 스타트업(영어: startup)은 설립한 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 벤처기업을 뜻한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생겨난 용어로서, 혁신적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설립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창업 기업이다. 자체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는 작은 그룹이나 프로젝트성 회사이다.
이러한 회사들은 대부분 신생이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시장을 찾아 나서는 데 주력한다. 스타트업이란 용어는 닷컴 버블 이후 함께 등장하는데, 당시에는 닷컴 회사들을 지칭하는 의미로 쓰였다.
Categories
스타트업 성공 전략의 80%는 실수를 피하는 것
스타트업이 실패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뭔가를 피하는 것"이 이미 성공을 위한 계획이 될 수 있음
- 흔히 제시되는 성공 전략
- 비전을 수립하라
- 비전에 따른 목표를 설정하라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만들어라
- 목표에 대한 진척도를 측정하라
이고를 배제한 엔지니어링: 교훈과 통찰
- Egoless 엔지니어링 | GeekNews
- 기술 업계에서 이고와 지역주의(파벌주의)는 팀워크를 방해하는 주된 요소로 작용함
- 엔지니어링 팀을 더 효율적이고 협력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고민하며 얻은 통찰을 공유
미래 창업자를 위한 스타트업 아이디어 찾기
스타트업 아이디어를 찾는 12가지 프레임워크
- 큰 시장에서 문제를 선택하기
- 똑같이 열심히 일해도 작은 시장에서는 성과가 제한적임
- 큰 시장에서 중요한 문제를 풀어야 성공 가능성이 높음
- 현장에서 관찰하며 문제 발굴하기
- 사용자의 일상이나 작업 환경에 직접 들어가 불편·비효율을 체감
- 책상 앞 아이디어가 아니라 현장에서 드러나는 실제 문제를 포착하는 방식
- 세 가지 질문으로 브레인스토밍하기
- 세상의 큰 문제는 무엇인가?
- 내가 가진 독특한 기술·경험·관점은 무엇인가?
- 이 두 가지를 어떻게 비즈니스 기회로 연결할 수 있는가?
- 비자명한 시장 찾기
- 겉보기에 당연하거나 평범해 보여서 사람들이 간과하는 시장
- 새로운 기술이 퍼지는 초창기 시장이나, 경쟁은 많지만 차별화가 없는 분야, 혹은 작아 보이지만 성장 여지가 큰 틈새시장이 여기에 해당
- 제약 완화된 사고
- 현재 기술이나 규제 때문에 불가능해 보이는 문제도, 미래에는 제약이 사라질 것을 가정하고 사고 확장
- “만약 이 제약이 없다면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가 가능할까?”라는 질문에서 혁신이 나옴
- 2주간의 공동 창업자 실험
- 실제 프로젝트를 2주 정도 함께 진행하며 아이디어 실행력과 팀워크를 동시에 검증
- 소비자 대상이면 프로토타입, 기업 대상이면 고객 인터뷰 위주로 빠르게 시험
- 아이디어 숙성하기
- 급히 떠올린 아이디어보다는 오랜 기간 여러 상황에서 계속 떠오르고 마음에 남는 문제가 기회가 될 확률이 높음
- 아이디어를 ‘약불로 오래 끓인다’는 느낌으로 꾸준히 고민
- JTBD (Jobs To Be Done) 프레임워크 활용
- 사용자가 실제로 무슨 일을 달성하려 하는지(과업) 를 정의
- 기존 솔루션이 충족하지 못하는 핵심 니즈와 불만족 지점을 찾아내는 방식
- 명확한 비전과 시점 정의하기
- “무엇을 언제 어떻게 할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그려야 실행 가능
- 흐릿한 방향성보다, 선택과 집중이 가능한 구체적 로드맵이 필요
- 네 가지 검증 기준 적용하기
- 아이디어가 충족해야 할 조건을 네 가지로 점검
- 기능적 필요가 있는가?
- 감정적 만족을 주는가?
- 10억 달러 이상 시장 규모가 있는가?
- 기존보다 혁신적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가?
- 아이디어가 충족해야 할 조건을 네 가지로 점검
- 연구만 하지 말고 곧바로 피칭 → 피드백 → 개선 사이클을 돌려야 함
- 대부분의 반응은 잡음이지만, 그 안의 소수의 인사이트가 방향을 정해줌
- 스타트업은 장기전이므로, 창업자가 3년, 5년, 7년 후에도 계속 흥미를 느낄 수 있는 문제여야 함
- 단기적 트렌드가 아니라 창업자의 지속적 몰입이 가능한 분야인지 확인
전통 산업에서의 버티컬 SaaS 구축 : 하지 말아야 할 것들
- 기술적 복잡성과 과도한 커스터마이징
- ERP 구축이 단순할 것이라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고객마다 서로 다른 요구사항으로 인해 개발 리소스 고갈
- 예: 키보드 단축키, 데이터 입력 화면 레이아웃, 특정 송장 형식
- 결과: 확장성이 없는 커스터마이징 의존 제품으로 변질
- ERP 구축이 단순할 것이라 생각했지만, 실제로는 고객마다 서로 다른 요구사항으로 인해 개발 리소스 고갈
- 긴 영업 주기
- ERP 시스템 전환은 복잡하고, 많은 부서의 동의가 필요:
- 고객사들은 현재의 불편함에도 불구하고 전환을 꺼림
- 레스토랑의 바쁜 시즌에는 판매 기회가 제한됨
- 결과: 낮은 거래 성사율(목표치의 20~30% 수준)
- ERP 시스템 전환은 복잡하고, 많은 부서의 동의가 필요:
- 낮은 지불 의향과 긴 수익 활성화 주기
- 고객사 대부분이 낮은 이윤(약 5%)으로 운영:
- QuickBooks에 월 $80 지불하던 고객들에게 ERP 업그레이드 비용은 부담됨
- 추가적인 핀테크 및 주문 앱 매출도 활성화에 긴 시간이 소요
- 고객사 대부분이 낮은 이윤(약 5%)으로 운영:
- 지나치게 많은 실험
- 초기 단계에서 여러 수익 모델과 네트워크 효과를 동시에 시도:
- 단일 성공 사례를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과도한 전선 확장
- 결과: 팀 번아웃과 낮은 반복 실험 속도
- 초기 단계에서 여러 수익 모델과 네트워크 효과를 동시에 시도:
왜 대부분의 이메일 스타트업은 실패하는가
액셀러레이터 별 분석:
- Y Combinator: 이메일 앱 팩토리
- Emailio (2014): 모바일 이메일 클라이언트 → 웰니스로 피벗
- MailTime (2016): 채팅형 이메일 → 분석 서비스로 피벗
- reMail (2009): iPhone 이메일 검색 → 구글에 인수 후 종료
- Rapportive (2012): Gmail 소셜 프로필 → LinkedIn 인수 후 종료
- 성공률: 일부 인수 성공(reMail, Rapportive) 사례가 있으나 다수는 피벗 또는 인재 인수(acqui-hire)로 종료
- Email Copilot (2012): 인수 후 종료
- ReplySend (2012): 완전 실패
- Nveloped (2012): “Easy. Secure. Email” → 실패
- Jumble (2015): 이메일 암호화 서비스 → 실패
- InboxFever (2011): 이메일 API → 실패
- 패턴: 모호한 가치 제안, 실질적 기술 혁신 부재, 빠른 실패
2025년 하반기
- 2025년 팁스(TIPS) 창업기업 지원계획 통합공고
- 2025년 전략기술 딥테크 창업 촉진 지원사업
- 2025 하남시 스타트업 발굴 및 육성 지원사업 "이루다+" 프로그램 참여기업 모집 공고
See also
- Business (비즈니스)
- Business plan (사업 계획서)
- Self-help (성공학, 자조론, 자기 계발)
- 사업자등록증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 TIPS
Favorite site
- Startup company - Wikipedia
- 첫 번째 Exit에서 얻은 교훈 | GeekNews
- 나의 첫 번째 성공적인 사업 TinyPilot을 매각 완료했어요 | GeekNews
- 부트스트랩 창업자로서의 나의 6번째 해 | GeekNews
- TinyPilot: $100 보다 저렴한 KVM Over IP | GeekNews
- 스타트업을 위한 Cloudflare | Cloudflare
- 스타트업레시피 투자리포트 2024 (34p PDF) | GeekNews
- YC의 Requests for Startups - Spring 2025 | GeekNews
- 블로그가 없어서 실패한 스타트업은 없다 | GeekNews
예비 창업 패키지
- 예비창업패키지 후기
- [추천] K-Startup
- [추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