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uri
모든 주요 데스크톱(macOS, Linux, Windows)과 모바일(iOS, Android) 플랫폼을 위한 작고 빠른 바이너리를 구축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다중 플랫폼 배포를 위한 최적화되어 있고, 안전하며, 프론트엔드 독립적인 앱을 구축해보세요.
Tauri vs Electron
- Tauri vs. Electron - 실제 어플리케이션으로 비교하기 | GeekNews
- Tauri 와 Electron 비교 - 성능, 번들크기 및 실제 트레이드오프들 | GeekNews
Authme라는 크로스플랫폼 2FA앱으로 항목별 비교
- 번들 : OS의 웹뷰를 사용하는 Tauri가 훨씬 작음. 2.5MB vs. 85MB
- 시작시간 : Tauri ~2초 vs. Electron ~4초
- 램 사용량 :
- 윈도우에서는 Tauri 80MB, Electron 120MB로 큰 차이 없음
- 리눅스에서는 Tauri 80MB, Electron 쪽에 뭔가 많이 떠서 500MB 이상으로 큰 차이가 남
- Tauri 로드맵에서는 Python, C++, Deno도 지원 예정이라고
- 브라우저별 차이가 있을 수 있어서, Tauri에서는 폴리필을 이용해야 할 경우가 있음
- Tauri쪽이 더 간단. 내장 Updater가 있음(직접 업데이트 서버를 운영해야한다는 단점은 있음)
- Electron은 electron-updater가 많이 쓰임. 장점은 GitHub 릴리즈에서 직접 바이너리를 가져오는게 가능해서 편리함
- Tauri는 그냥 CLI만 설치하면 모든게 바로 사용 가능(핫 리로딩, 번들링, 앱 생성등)
- Electron은 그런거 없이 프레임워크 자체만 줌. 핫 리로딩/번들링을 알아서 해야함
- Tauri의 가장 큰 장점은 모든 웹프레임워크와 호환된다는 것
결론
- Tauri를 선택
-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지만, 몇년내에 Tauri팀이 Electron을 따라잡을 것
- 특히 기대하는 것은 Deno를 백엔드로 사용가능하게 되는 것과 더 편한 자동 업데이트 및 iOS/Android 지원
| WARNING |
| 아직 그대로 믿진 말자 |